로그인
회원가입
주문배송조회
마이페이지
패키지
성장놀이터
워크북
이벤트
육아 이야기
놀이법
2 세
아이를 잘 키우는 부모의 10가지 특징
모든 아빠 엄마들이 우리 아이가 행복하고, 똑똑하게 자라나길 원합니다. 훗날, 험난한 사회생활 속에서 자신의 길을 잘 찾아 가기를 바라지요.
안 보게 할 수도 없고.. 유아 영상 시청 가이드
만 3살 이전까지는 영상은 전혀 보여주지 않는 게 사실 가장 좋습니다. 하지만 현실적인 이유로 어려울 때가 많지요.
마음이 강한 딸로 키우는 엄마 아빠의 8가지 모습
정말 소중한 우리 딸, 남에게 의존하기보다 자신이 스스로 강해지고 굳건하게 살아갈 수 있도록 하려면 엄마 아빠의 역할이 중요합니다.
아이에게 매일매일 꼭 말해줘야 할 9가지
아이는 정말 빨리 자라납니다. 어제와 오늘이 또 다릅니다. 그만큼 엄마 아빠와 주변 자극을 빠르게 흡수하면서 자기 것으로 만든다는 것을 의미하지요. 엄마 아빠의 말은 아이 성...
아이 자율성, 용기를 키워주기 위해 꼭 해줘야 하는 말
아이에게는 적절한 성공과 실패 경험이 사회성 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양분이 됩니다. 아이의 자존감과 책임감 발달에는 작은 성공 경험들이 물론 중요하지만, 우리의 인생이 그...
수면의 질은 아이의 성장을 좌우해요!
'잠이 보약이다'라는 말처럼 아이들에게는 숙면만큼 좋은 성장 발달제는 없답니다. 푹 자는 아이들은 성장 호르몬과 면역 호르몬의 분비가 활발하기 때문이지요. 아이를 재우기 위해...
아이 둘이 싸울 때, 가장 현명한 엄마 아빠 대화법
잘 놀다가 사소한 것에도 매일 토라지고 싸우는 아이들, 때로는 엄마 아빠도 정말 힘듭니다.
왜 아빠들은 육아를 어려워하는 것일까요?
육아가 어려운 아빠들도 할 말이 있답니다.
"세상에 완벽한 부모는 없어요" 엄마의 화나는 감정 현명하게 표현하기
부모도 사람이기 때문에 완벽할 수는 없습니다. 아이를 키우다 보면 떼를 부리는 모습에 나도 모르게 화를 내게 되고, 뒤돌아서서 후회하기도 하지요. 아이에 대한 전문지식을 가지...
아이 자존감을 높여주는 6가지 칭찬 대화법
아이는 엄마의 사소한 칭찬 한마디에도 스스로를 유능하다 여길 수도, 스스로가 형편없다고 느낄 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엄마 아빠의 칭찬은 아이에게 큰 영향력을 미치게 되지요. ...
'육아의 일관성' 어려운 것이 아니에요
우리가 많이 보는 육아 서적이나 지침서를 보면 아이와의 안정적인 애착 형성을 위해 육아에 '일관성'을 지켜야 한다고 이야기합니다.
우리 아이만의 고질적인 '습관' 바로잡기
우리 주변에서도 특별한 습관을 가진 사람들을 만날 수 있습니다. 손톱을 자꾸 물어뜯는다거나, 코를 후비는 등 사소하지만 그 사람만이 가지고 있는 특이한 습관을 가지고 있는 것...
우리 아이 떼부림에 대처하는 7가지 자세
아이가 떼쓰고 징징할 때, 엄마 아빠는 심적으로 힘듭니다. 하지만 이때 어떻게 대응하느냐가 아이가 어떻게 자라나느냐에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답니다. 엄마 아빠의 옳은 대처법, ...
우리 아이 공감대화 이런 점이 좋아요!
아이 마음을 헤아려 주는 대화를 했을 때, 아이에게 어떠한 효과가 있을까요?
친구 놀잇감을 빼앗는 우리 아이, 이렇게 해보세요~!
아이들은 2세가 지나면서부터 소유 개념이 발달하기 시작합니다. 소유 개념은 아이가 점점 성장함에 따라 자리를 잡아가게 됩니다. 6세가 지나면서부터 또래관계와 규칙, 질서에 대...
우리 아이 떼부림에 나는 어떤 부모일까?
아이들은 보통 걸음마를 시작하면서부터 떼부림이 시작됩니다. 특히 2~4세인 경우, 통계적으로 50~80%의 아이들이 일주일에 한 번 이상 떼를 쓴다고 합니다.
3세 아이 그림책 놀이는 이렇게 해보세요
아이들은 3세가 되면 이제 '엄마','아빠','우유' 등 친숙한 단어보다 좀 더 많은 수의 단어를 말할 수 있게 됩니다. 또한 짧은 문장을 구사하는 것도 가능해지지요. 따라서...
우리 아이 안정적인 배변훈련을 위한 부모 지침서
배변 훈련의 시기는 아이의 상황마다 다르지만 보통은 아이가 18~20개월 정도가 지나면 부모들은 배변 훈련 준비를 시작합니다.
아이가 친구나 주변 사람을 무는 행동을 보였다면
아직 아이들은 자신의 감정이나 생각을 적절하게 표현하는 방법이 미숙하기 때문에 때로는 무는 행동으로 부정적인 감정을 표현하곤 합니다. 또는 호기심에 실험적으로 무는 아이도 있...
에너지 넘치는 우리 아이와 외출할 때 육아법
3세 아이들은 아직 자신의 행동이나 감정을 통제하기 부족합니다. 특히 지나치게 활발한 아이들은 자신의 넘치는 에너지를 조절하지 못하고 이리저리 호기심 거리를 찾아 뛰어다니기 ...
‹ 이전
…
4
5
6
…
다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