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주문배송조회
마이페이지
패키지
성장놀이터
워크북
이벤트
육아 이야기
놀이법
3 세
자기조절력이 우리아이에게 왜 필요할까요?
‘자기조절력’은 말 그대로 자신의 신체와 감정을 통제하고 조절하는 능력을 말합니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인내심과 자제력이 바로 자기조절력인 것입니다. 타고난 기질도 있지만...
'엄마 나도 사랑해 주세요!' 문제행동 속 숨겨진 첫째 아이 마음 읽기
둘째가 태어났습니다. 엄마 아빠의 입장에서는 한없이 귀여운 아이이지만 첫째에게는 내 세상을 송두리째 흔드는 강력한 라이벌의 등장입니다. 자꾸 어른의 역할을 강요하는 사람들 사...
아이가 어떤 환경에서도 자신의 의견을 잘 이야기 하길 바란다면
아이가 자신의 의견을 또박또박 이야기하고 적극적으로 주장할 수 있으려면 일단 자기에 대한 가치를 긍정적으로 가질 수 있어야 합니다. 우리 아이의 자존감을 키우고 자기주장을 잘...
내가 할 거야! 자기주장이 강한 아이를 위한 양육법
아이가 고집을 부리고 자기 요구만 주장하는 것에는 다양한 이유가 있습니다. 내 요구만 일관되게 주장하는 아이에게는 일단 무슨 원인 때문에 이런 행동을 보이는지 그 이유부터 찾...
아이는 실패를 이겨내는 힘을 키워야 해요
어떤 아이들은 굉장히 승부욕이 강합니다. 지는 것을 싫어하고 매 활동에 승리하고 성취하고자 하는 욕구가 있지요. 경쟁에서 이기고자 하는 욕구는 아이를 활력 있게 만듭니다. 활...
연년생 아이 육아 지침서
발달 곡선이 비슷한 연년생 두아이는 때론 친구 같지만, 때론 치열한 전쟁을 합니다. 이런 두 아이를 키우는 것이야 말로 '전쟁 육아'가 되기도 합니다. 연년생 두 아이 육아...
아이가 친구에게 작은 상처를 받았을 때 부모 대화법
아이가 친구로부터 상처를 받고 속상해하면 엄마는 어떻게 대화해주어야 하는 게 가장 현명할까요?
밥 잘 안먹는 우리아이를 위한 육아법 총정리
한창 골고루 먹는 습관이 들어아할 시기에 아이가 선호하는 음식만 먹으려 한다면 부모는 큰 고민일 것입니다. 이런 우리 아이에게 골고루 먹는 습관을 들이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아이가 친구랑 잘 사귈 수 있도록 돕는 부모 지원법
또래와 잘 지내는 모습은 저절로 그냥 생겨나는 게 아니랍니다. 어른들도 친구 사귀는 게 어려운걸요. 잘 하는 것처럼 보여도, 아이들에게는 사실 매우 어려운 과정입니다. 엄마 ...
소극적인 우리 아이 자존감을 높여주는 방법
친구들이나 사람들 앞에만 서면 쭈볏쭈볏하는 조금 소심한 우리 아이가 걱정이라면 우리 아이 '표현력' 키우기 대작전을 펼쳐봅시다. 우리 아이 자존감도 살려주고, 적극적인 아이로...
아이 자존감은 부모의 대화에서 시작돼요 "자존감 쑥쑥 대화 방법"
표현이 어려운 엄마 아빠를 위한 아이 자존감 향상 대화법을 소개합니다. 아이에게 이렇게 말하는 것을 연습해보고, 스킨십에도 도전해 보세요.
‘스스로 어린이’ 만들기! 우리 아이 독립심 키우는 방법
아이가 자율성을 키우고 독립적인 자세를 가지려면 부모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아이의 독립심 향상을 위한 부모의 역할을 몇 가지 소개합니다.
자주 다투는 우리 아이들 육아 방법
두 아이를 키우는 부모님이 반드시 알아야 할 필수 육아 원칙! 특히 남매 육아에 대해 힌트가 될 만한 팁들을 소개합니다.
사회성에 가장 큰 기본, 배려심을 꼭 키워주세요
가정에서 배려를 가르치기 위해서는 몇 가지 핵심 키워드가 있습니다. 가끔은 ‘독불장군’같은 우리 아이, 어떻게 하면 배려를 알려줄 수 있을까요?
떼울음이 심한 우리 아이 "공감 훈육 방법"
아이가 클수록 계속 울음과 떼를 받아주게 되면 떼, 울음이 버릇이 되어 버릴까 봐 걱정이 됩니다. 이럴 때, 아이의 속상한 마음을 달래주면서 아이의 버릇도 고쳐줄 수 있는 좋...
식목일, 아이와 이렇게 대화하면 좋아요
4월 5일 식목일, 오늘은 우리 아이에게 자연과 나무의 소중함에 대해 알려주세요.
아이가 낯선 환경에서 적응을 어려워해요.
아이가 새로운 곳에 가거나, 새로운 사람을 만나거나, 환경이 바뀌면 두려워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엄마 마음은 조금은 답답하고 안쓰러운데요. 이럴 때 엄마 아빠가 어떻게 대해주...
아이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절대 피해야 할 말
아이는 엄마 아빠의 말을 기반으로 세상을 바라보고 삶의 자세를 형성합니다.
아이가 떼를 쓸 때 엄마 아빠가 알아야 할 대처 기술
많은 아이들이 자신의 욕구나 감정을 표현할 단어를 알지 못하기 때문에 짜증을 부립니다. 따라서 아이에게 '화, 슬픔, 피곤함, 불만'같은 몇몇 감정 단어를 가르쳐 주시면 유용...
친구에게 맞는 우리 아이 어떻게 도와줄까요?
아이가 맞고 들어오면 엄마는 당연히 속상합니다. 이때 어떻게 대처하는 게 가장 좋을까요?
‹ 이전
…
12
13
14
…
다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