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주문배송조회
마이페이지
패키지
성장놀이터
워크북
이벤트
육아 이야기
놀이법
6-7 세
아이 자율성, 용기를 키워주기 위해 꼭 해줘야 하는 말
아이에게는 적절한 성공과 실패 경험이 사회성 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양분이 됩니다. 아이의 자존감과 책임감 발달에는 작은 성공 경험들이 물론 중요하지만, 우리의 인생이 그...
아이 둘이 싸울 때, 가장 현명한 엄마 아빠 대화법
잘 놀다가 사소한 것에도 매일 토라지고 싸우는 아이들, 때로는 엄마 아빠도 정말 힘듭니다.
"세상에 완벽한 부모는 없어요" 엄마의 화나는 감정 현명하게 표현하기
부모도 사람이기 때문에 완벽할 수는 없습니다. 아이를 키우다 보면 떼를 부리는 모습에 나도 모르게 화를 내게 되고, 뒤돌아서서 후회하기도 하지요. 아이에 대한 전문지식을 가지...
아이 자존감을 높여주는 6가지 칭찬 대화법
아이는 엄마의 사소한 칭찬 한마디에도 스스로를 유능하다 여길 수도, 스스로가 형편없다고 느낄 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엄마 아빠의 칭찬은 아이에게 큰 영향력을 미치게 되지요. ...
따박따박 말대꾸하는 우리 아이! 화내지 않고 이기는 방법
7세 아이의 언어발달 수준은 성인의 수준과 비슷해지기 때문에 아이와 옥신각신할 일도 많아지지요. 실제로 요즘에는 대중매체의 영향으로 인해 말대꾸하는 아이들이 많습니다.
'육아의 일관성' 어려운 것이 아니에요
우리가 많이 보는 육아 서적이나 지침서를 보면 아이와의 안정적인 애착 형성을 위해 육아에 '일관성'을 지켜야 한다고 이야기합니다.
아이가 8세가 되기 전 엄마 아빠가 꼭 알려주어야 할 10가지
아이가 학교 가는 순간, 어느 정도 엄마 아빠의 품을 떠나갑니다. 친구와 선생님 등 엄마 아빠 이외 사람과 시간을 많이 보내게 되지요. 또한, 아이 스스로의 길을 계속해서 찾...
우리 아이만의 고질적인 '습관' 바로잡기
우리 주변에서도 특별한 습관을 가진 사람들을 만날 수 있습니다. 손톱을 자꾸 물어뜯는다거나, 코를 후비는 등 사소하지만 그 사람만이 가지고 있는 특이한 습관을 가지고 있는 것...
우리 아이 떼부림에 대처하는 7가지 자세
아이가 떼쓰고 징징할 때, 엄마 아빠는 심적으로 힘듭니다. 하지만 이때 어떻게 대응하느냐가 아이가 어떻게 자라나느냐에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답니다. 엄마 아빠의 옳은 대처법, ...
우리 아이의 자위행위 차분하게 대처하세요
우리 아이가 자위행위를 하는 장면을 목격한다면 부모로서 당황스럽고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몰라 쩔쩔 매는 경우도 많습니다. 우리 아이에게 큰 문제가 있어서 이런 일이 발생을 한...
부모 품을 떠나 학교 갈 우리 아이를 위한 준비 3가지
가장 중요한 것은 아이가 학교를 ‘재밌고 즐거운 곳’이라고 인식하는 것입니다.
책과 친해질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보세요
서울대생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 따르면 그들을 성장시킨 부모의 남다른 육아비법은 바로 '독서'에 있다고 응답했습니다. 실제로 세계적인 리더로 거듭난 각 분야의 인재들은 어린 시...
우리 아이 공감대화 이런 점이 좋아요!
아이 마음을 헤아려 주는 대화를 했을 때, 아이에게 어떠한 효과가 있을까요?
우리 아이 전자매체 습관, 이렇게 관리해주세요
요즘은 우리의 어린 시절과는 달리 휴대폰과 컴퓨터, 패드 등 각종 전자 기기들이 우리 생활의 필수품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아이에게는 자연스레 노출이 될 수밖...
한 가지에 집중을 오래 못하는 우리 아이를 위한 시간 활용방법
무언가에 쉽게 집중을 하지 못하는 산만한 성향의 아이들은 앉아서 하는 놀이를 힘들어하고, 한 가지에 오랫동안 몰두하여 시간을 보내는 것을 어려워합니다. 오랜 시간 앉아 있는 ...
입학 전, 우리 아이 학습 습관 만들어주기
학교란 곳은 말 그대로 이제 학습적인 부분들을 배워야 하는 기관입니다. 학교라는 제도에 익숙해지기 위해서는 올바른 학습 습관을 가지 져야 합니다. 학습 습관은 7~8세 아이에...
친구에게 물건을 가져다주는 아이~!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또래와의 관계에 있어서 아무것도 양보하지 않으려 하고 자신의 의견만을 주장하는 것도 사회성 발달이 미숙하다는 신호일 수 있지만, 또래 친구에게 지나치게 자신의 물건을 가져다주...
우리 아이 선생님과 관계 형성 노하우
'선생님'이 아이에게 미치는 영향은 생각보다 매우 큽니다. 유치원을 다니는 아이에게는 인지발달과 정서발달, 그리고 학교를 다니는 아이에게는 학습발달과 원만한 또래 관계까지도 ...
'통합교과'준비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초등과정에서 나오는 '통합교과'란 우리가 예전에 배웠던 '바른 생활''즐거운 생활''슬기로운 생활'을 통합한 과목을 말합니다.
초등학교 입학을 앞둔 우리 아이 '학습' 어떻게 실천하고 계신가요?
7살이 된 우리 아이는 이제 초등학교라는 새로운 세상으로 나아가게 됩니다. 초등학교에 입학하게 되면 아이는 이제 '학습'이라는 새로운 상황을 경험하게 되지요.
‹ 이전
…
6
7
8
…
다음 ›